지난번에는 독립표본 t-검정 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. 이번에는 대응표본 t-검정이다. 영어로는 Paired sample t-test라고 한다. 대응표본 t-검정은 크게 두 가지 경우에서 사용된다. ① 두 개의 연속형 자료로 구성된(비율척도 or 등간척도) 변수들 간의 평균을 비교하고 싶을 때 ② 동일한 변수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를 비교하고 싶을 때이다. ①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. ①은 두 개의 연속형 자료로 구성된(비율척도 or 등간척도) 변수들 간의 평균을 비교하고 싶을 때 독립표본 t-검정이 사용된다. 예제 파일을 열어보면 [PREMED_A]와 [PREMED_B]가 확인된다. 각각 ‘A약 선호도’와 ‘B약 선호도’를 나타내는데, 환자 입장에서 A약과 B약 선호도 간에는 차이가 있지 않을까?..